논문 투고 규정

한국산림경영정보학회지 논문투고규정

 

제정 : 2024년 3월 00

 

 

 

1. 목적과 범위

한국산림경영정보학회지(이하 학회지)는 산림경영정보와 관련된 기초 및 응용분야의 연구논문, 단보, 단신 및 총설을 게재한다. 투고자는 학회 회원을 원칙으로 하지만, 공동저자는 회원이 아니어도 가능하다. 투고된 모든 원고는 엄격한 심사과정을 거쳐 편집위원회에서 게재여부를 결정한다.

 

연구논문(article)은 기존의 지식 수준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독창적인 연구 결과, 이론 또는 기술의 개발에 관한 논문으로 한다.

단보(short communication)는 새로운 분석 방법, 실험 도구의 개발, 특별한 관찰 등에 대한 것으로 인쇄 후 3면을 초과하지 아니한다.

단신(note)은 소규모 연구에 대한 결과로 인쇄 후 3면을 초과하지 않는 논문이며, 실험의 예비 결과나 진행 보고는 해당되지 아니한다.

총설(review)은 특정한 주제에 관하여 기존의 연구결과를 비판적으로 종합화한 논문으로 한다. 단, 총설은 편집위원회의에서 기획하여 위촉한 논문이거나 편집위원회의 검토를 받은 원고에 한해 투고를 받는다.

 

2. 원고 제출

본 학회지에 투고되는 논문은 다른 출판물에 발표되지 아니한 최초의 논문이어야 하며, 본 학회지 외의 다른 어떤 곳에도 함께 출판할 수 없다. 원고는 아래의 학회 이메일을 통해 투고한다.

 

학회 이메일 jfmi26360098@gmail.com

 

3. 저작권 및 연구출판윤리

게재 승인과 동시에, 저자(들)는 본 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의 모든 이용에 관한 저작권을 학회에 이양한다. 단, 저자(들)의 요청이 있을 때에는 학회에 투고된 내용을 이용할 수 있게 학회는 승인할 수 있다.

 

본 학회지의 저작권 및 윤리규정에 명시되지 않은 연구출판윤리는 다음에서 정하는 국제 기준(http://publicationethics.org/resources/international-standards-for-editors-and-authors)을 따른다. 또한 교신저자는 연구 및 출판윤리 준수 서약서를 제출해야 한다(서식I와 서식II).

 

4. 원고 작성

원고는 국문 또는 국한문 혼용으로 A4 용지에 작성하여야 하며, 본문의 줄 간격은 200%, 글자크기 10포인트가 되도록 한글(HWP) 또는 MS워드로 작성한다. 논문 투고 시에는 표지, 논문(심사용), KCI논문 유사도 검사, 추가 파일(부록 등), 저작권 이양동의서(서식 I), 윤리 준수 서약서(II) 파일을 준비한 후 학회 이메일을 통하여 제출한다.

논문의 작성순서는 (1) 표지: 제목, 저자(들)의 이름, 소속 및 주소,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연락처; (2) 국문 요약, 영문 ABSTRACT; (3) 서론; (4) 재료 및 방법; (5) 결과; (6) 고찰; (7) 결론; (8) 감사의 글; (9) 인용문헌; (10) 표; (11) 그림의 순서로 하되, 각 항은 새로운 페이지에서 시작한다. 원고에는 페이지번호와 줄번호를 넣을 수 있다.

명시된 투고 규정에 맞지 않게 작성된 원고는 저자에게 반송할 수 있다. 투고 규정은 매년 첫 호에 게재된다.

 

1) 표지

논문의 제목은 본문 내용을 함축하여 나타내야하며, 학명에 명명자를 표기하거나 약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논문의 제목, 저자명은 국문 또는 국한문 혼용으로 작성하고, 이어서 영문으로 제목, 저자명을 다시 반복하여 작성하되 다음 요령에 따른다.

-저자(들)의 소속기관과 주소는 해당 저자의 우측 상단에 번호(위첨자)로 표시하고, 그 소속 및 주소를 각주로 밝힌다.

-교신저자의 우측상단에 *를 표시한다. 교신저자는 연락 주소, 전화 번호, Fax 번호, E-mail 주소를 각주로 밝힌다.

 

2) 심사용 논문

(1) 제목

논문의 제목을 국문 또는 국한문 혼용으로 작성하고, 영문으로 제목을 다시 반복하여 작성한다.

 

(2) 국문 요약과 영문 ABSTRACT

국문요약과 영문 ABSTRACT는 300 단어 (약 1,500 문자)이내 분량으로서 연구 필요성, 연구 목적, 방법, 결과, 결론 등을 포함하되, 반드시 하나의 문단으로 구성한다. 본문 중의 그림, 표, 인용문헌이 언급되어서는 안 되며,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식의 사용도 피한다. 영문 ABSTRACT 다음에는 핵심어(Key words)를 영어 단어로 5개 이내로 작성한다.

 

(3) 본문

본문 내에서 소제목이 필요한 경우, 번호 체계는 1., 1), (1), ①, 가., 가), (가), ㉮ 등으로 표기한다. 각주를 사용할 경우에는 처음부터 일련번호로 정리한다. 논문에 따라서는 (4) 재료 및 방법 대신에 연구방법 또는 이론을 기술할 수 있으며, (5) 결과와 (6) 고찰을 통합할 수도 있다. (7) 결론은 (6) 고찰로 작성할 수도 있다. 부록이 있는 경우에는 인용문헌 뒤에 삽입한다.

 

(4) 감사의 글

연구 및 논문 작성과 관련하여 도움을 준 개인, 기관 등에 대하여 감사의 표현을 할 수 있다. 연구비 지원을 받았다면 명시할 수 있다.

 

(5) 표와 그림

표와 그림은 별지의 A4 용지에 작성하여 본문 다음에 일괄적으로 추가한다.

모든 표와 그림은 한 페이지에 하나씩 수록한다.

본문 중에는 표와 그림을 삽입하지 말고 그 위치만 적절하게 표시한다.

표 제목이나 주석은 반드시 200% 줄 간격으로 작성하되, 표 내용은 그 이하의 줄 간격도 무방하다.

표와 그림의 제목과 내용은 영문으로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표와 그림의 번호는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한다(예, Table 1; Figure 1). 본문 내에서 표나 그림을 인용할 때에는 영문으로 Table 1 또는 Figure 1로 표기한다.

표 제목은 상단에, 그림 제목은 하단에 기술한다. 표와 그림의 제목 끝에는 마침표를 찍는다.

표의 부호는 위첨자 알파벳으로 통일하고, 부호에 대한 설명은 표의 아랫부분에 둔다.

모든 그림(사진, 도식, 그래프 등)은 손보거나 다시 그리지 않고 재생할 수 있도록, 출판이 가능한 해상도를 유지해야 한다.

 

(6) 단위 및 학명 표기

모든 수량은 아라비아 숫자로 하고,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단위는 국제단위계(SI unit)를 원칙으로 하며Mg ha-1, Ca2+, Mg2+ 등으로 표기한다,

모든 학명은 처음 사용하는 곳에서 학명 표기법에 따라 명명자를 포함하여 표기하되, 그 다음 반복될 경우에는 명명자를 표기하지 않는다. 명명자의 축약형은 반드시 Brummitt and Powell (1992)을 따르며 이 축약형은 Harvard University Herbaria Databases (http://www.huh.harvard.edu/databases/)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 언급되지 않은 사항은 출판과 관련된 일반적인 관례에 준하여 적용한다.

 

(7) 본문에서 인용문헌 표기

인용문헌은 인용한 단어 또는 문장의 절 뒤에 공간 없이 괄호 안에 바로 표기한다. 한 괄호 안에 저자의 성과 연도를 표기하고 성과 연도사이에 쉼표(,)를 넣는다. 공동저작인 경우 2명까지는 성을 모두 표기하되, 3명 이상의 경우는 처음 저자의 성 다음에 ‘et al.’을 사용한다.

예) 저자가 1인인 경우:(Park, 2016)

저자가 2인인 경우:(Chang and Lee, 2000)

저자가 3인 이상인 경우:(Kang et al., 2012)

여러 개 인용의 경우는 연도별로 배열하고 인용문헌 사이에 세미콜론(;)을 넣는다. 만약 동일 연도에 출판된 것이라면 알파벳 순으로 나열한다.

예) 인용이 여러 개인 경우 연도별로 배열 : (Chang and Lee, 2000; Kang et al., 2012; Cho, 2016)

동일 연도에 출판된 것 인용인 경우 : (Kim et al., 2016; Lee, 2016; Park, 2016)

단체나 기관이 저자로 본문에 자주 인용될 때에는 약어를 사용한다.

예) 산림청을 인용할 때 : (KFS, 2016)

동일 저자 문헌의 경우, 단독 저자 문헌, 2인 저자 문헌, 3인 이상 저자 문헌의 순으로 하며, 동일 저자의 동일년도 문헌은 연도 뒤에 a, b, c 기호를 붙여 구별한다.

예) (Kim, 2014a, 2014b, 2014c)

제한된 범위에서 출판된 문헌의 인용이 아닌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본문에만 표기한다.

예) (C.S. Kim, personal observation) 또는 (personal communication)

 

(8) 인용문헌 작성

인용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문헌만을 표기하며 모두 영문으로 기재해야 한다.

정기간행물의 경우, 저자, 연도, 논문 제목, 간행물명, 권수, 페이지 순으로 표기한다. 이 때 간행물명은 약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예) Park, C.M., Seo, B.S. and Lee, C.T. 2000. Improved preservation methods for big and old trees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9: 440-451.

인용문헌의 저자명은 저자 수에 상관없이 모든 저자명을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저자수가 10인 이상일 경우는 대표저자 et al.로 표시한다.

단행본 책을 인용하는 경우 저자, 연도, 제목(소제목 포함), 출판사, 출판지역명 순으로 표기한다.
 
예) Kimmins, J.P. 2004. Forest Ecology: a foundation for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ethics in forestry. 3rd Ed. Pearson Prentice Hall. New Jersey, U.S.A. pp. 611.

단행본 내의 일부분을 인용할 경우, 인용된 부분의 저자, 연도, 제목, 페이지 번호, 그리고 단행본의 저자, 단행본 제목, 출판사, 출판지역명 순으로 표기한다.
 
예) Steinbeck, K. and May, J.T. 1971. Productivity of very young Platanus occidentalis plantings grown at various spacings. pp. 153-162. In:Young, H.E. (Ed.). Forest Biomass Studies. University of Maine. Orono, U.S.A.

학위논문을 인용할 때에는 저자, 연도, 제목, 출판지역명, 학교명 순으로 표기한다.
 
예) Cho, M.S. 2015. Effects of growing density and cavity volume of container on the growth performances of some temperate species. (Dissertation). Daeje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인터넷상의 자료를 인용할 경우, 해당 자료를 제공한 웹사이트 주소를 표기한다.
 
예) 작성자명 또는 기관, 년도, 자료제목, 웹사이트 주소, 제공된 일자 순으로 표기한다.
 
Kim, C.S. 2004. Nitrogen fixation of Alder trees in Korea. http://clever.net/n-fixation.html. (2004. 10. 20).

동일 저자 문헌의 경우, 단독 저자 문헌, 2인 저자 문헌, 3인 이상 저자 문헌의 순으로 하며, 동일 저자의 동일년도 문헌은 연도 뒤에 a, b, c 기호를 붙여 구별한다.
 
예) Kim, C.S. 2014a. Nitrogen fixation of Alder tre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0: 440-451.
 
Kim, C.S. 2014b. Spatial structure of forest.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24(2): 230-241.
 
Kim, C.S. 2014c.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ooden furniture.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20(1): 85-92.

 

5. 심사과정

투고 논문은 2명 이상의 관련분야 전문가의 심사과정을 거친다.

논문심사결과의 판정은 1) 수정 없이 게재, 2) 수정 후 게재, 3) 수정 후 재심사, 4) 게재불가로 구분한다. 심사 후 2번과 3번으로 판정된 논문의 저자는 심사자 의견에 대한 ‘심사자 의견에 대한 답변’을 수정본과 함께 정해지 기간 내에 제출한다. 심사가 완료된 논문은 최종적으로 학회 이메일을 통해 제출하여야 하며 제출된 논문은 저자에게 반환하지 않는다.

원고의 채택여부는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하여 결정한다. 단 심사 중인 원고가 저자수정 통보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저자수정 후 재접수되지 않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논문 접수가 취소된다.

 

6. 교정

심사가 완료된 논문은 편집 과정 중에 오자나 탈자의 수정과 같은 미비한 내용을 첨삭할 수 있어도 편집위원회의 허가 없이 저자의 변경, 내용의 수정이나 삭제, 또는 인용문헌의 첨가를 할 수 없다.

 

7. 징계 절차 및 내용

윤리위원회의 징계 건의가 있을 경우, 회장은 이사회를 소집하여 징계 여부 및 징계 내용을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윤리규정을 위반했다고 판정된 회원에 대해서는 경고, 회원자격의 정지 또는 제명 등의 징계를 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결과를 공개할 수 있다.

투고된 논문이 연구 부정직 행위에 해당된다면 편집위원회는 해당 논문을 “게재 삭제”로 처리한다. 투고자에게는 판정된 시점 이후 3년간 본 학회지로의 논문 투고를 금한다.

×